혹시 야간대학원(특수대학원)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을 생각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은 것 같아서, 입학(면접), 학기 생활, 졸업까지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학과는
5학기 과정 : 건설환경 및 방재 안전 공학, 건축 공학, 기계 공학, 도시 계획, 산업정보경영, 전기전자공학, 컴퓨터 공학, 통신. 방송공학
4학기 과정 : 공학경영, 테크노인문학, 인공지능
위와 같이 있습니다. 여기서 희망하는 전공으로 지원하시면 됩니다.
1. 입학 지원 및 면접
입학 지원 자격 : 4년제 졸업 ( 전공 상관 없음 )
지원 시 필요 서류 : 입학 지원서, 학업 계획서
여기서 입학지원서는 개인 신상 정보와 같은 내용을 웹 사이트 상에 작성을 하시면 됩니다. 학업 계획서의 경우에는 보통 A4 1~2 장 분량으로 작성하며, 특별히 정해진 틀은 없으나, 입학 후의 학업 계획에 대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학업계획서는 입학해서 어떤, 어떤 수업으로 어떠한 지식을 쌓아서, 지금 하고 있는 일과 관심있는 분야를 제시하면서, 이 부분을 발전 시켜 연구 해보고 싶다는식으로 작성하시면 큰 무리 없을 겁니다.
면접은 특별한 질문 내용이 없습니다.
솔직히 제가 면접 봤을 때 대략 2~30명은 본 것 같습니다. 합격은 10명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 이해가 안되었습니다. 이걸 떨어질 수가 있어? 라는 생각이었거든요.
면접 질문 내용은
왜 지원 했나요?
회사 다니면서 다니기 힘들텐데 괜찮나요?
회사에서는 양해가 되어 있는 편인가요?
등등 아주 기초적인 질문입니다.
다만, 인공지능은 좀 다를 수 있습니다.
지인 중에 한양대 인공지능으로 간 친구가 있는데, 거기는 전문지식을 좀 많이 물어봤다고 합니다. 연세대도 충분히 면접에서 그럴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2. 학기 생활
코로나 상황이 아니라면 보통 입학 직전에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합니다. 공학대학원 전체 행사로 이루어지며, 학과 소개 및 졸업생 인사 등등을 합니다.
그리고 매 학기별로 약 50만원 정도가 추가로 내게 됩니다.
50만원 중 30만원은 전공회비, 20만원은 공학대학원 운영비로 쓰입니다. 이 돈들이 행사나 각종 지원에 사용됩니다.
물론 내기 싫으시면 안내셔도 됩니다만, 좀 껄끄러울 수 있습니다. 일단 단체 생활에서 배제되는 거라 그냥 학교만 다니고 인맥 쌓기는 힘들 수도 있습니다. 그냥 아싸(아웃사이더)가 되는 겁니다
그리고 학생들이 봄, 가을에 입학을 2번 하기 때문에 학년으로 구분하는 것보다 학기별로 구분합니다.
그래서 1학기는 1학차, 2학기는 2학차라고 부릅니다.
각 학차별로 대표와 총무를 뽑게 됩니다. 행사 안내나 조사 등을 하게 되고, 총무는 아무래도 회비를 걷어서 하다보니 그 관리를 위해서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1~5학차 중 가운데 있는 3학차에는 전공 대표, 전공 총무가 있습니다. MT를 한다든가, 이벤트 등을 기획하고, 교수님들께 연락을 취하는 등 가장 바쁩니다. 그래서 보통 전공대표, 총무는 그 다음해에 장학금(100만원)을 줍니다. 공로패 또한 줍니다.
학교 행사 중에 산업 연수 - 코로나19 이 전에는 일본으로 가는 일정이었는데, 경비는 거의 자비라서 참여율이 높은 편은 아닙니다. 그 외에도 골프, 전공 내 엠티, 체육대회 등이 있으나, 참여는 강제는 아닙니다. 그리고 지금껏 내는 회비로 저런 행사에 경품, 운영비 등으로 사용합니다. 그러므로 가급적 참여하는게 손해를 덜 보는 거 겠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14.gif)
수업은 월,화,목이 열리고 6시 50분 ~ 8시 20분, 8시 30분 ~ 10시까지 진행합니다.
보통 목요일 2교시는 전공세미나 수업이 열리고, 전공 세미나는 졸업하실 때까지 매학기마다 수강해야 합니다.
그 외의 수업은 자유롭게 선택하시면 되나, 졸업까지 수강해야하는 전공과목은 체크하셔서 수강하시면 됩니다.
전공 수업은 매학기 별로 열리지 않고, 4학기 단위로 로테이션 됩니다. 즉 1학기에 수업 들은 과목은 5학기째가 되야 다시 열리는 식입니다. 그리고 학년, 학차 구분 없이 수업을 듣기 때문에 수강 신청에 주의 하셔야 됩니다. 그냥 전공 열리면 내가 들어도 되나? 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필요한 내용이면 그냥 신청하시면 됩니다.
3. 졸업
졸업은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논문 졸업, 학점 졸업이 있습니다.
논문 졸업의 경우에는 3학차때부터 준비해서 5학차 초에는 100% 완성한 논문으로 예비심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물론 예비 심사를 진행하기 전에, 지도 교수님 외 부심 교수님 2분을 초빙해야 합니다. 보통 지도 교수님이 추천(친분 있는) 해주시는 분께 컨택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교수님들과 예비 심사 일정을 정하시고, PPT와 논문을 준비해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예비 심사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1시간 가량 소요됩니다. 예비 심사를 진행하신 뒤면, 거의 99프로가 끝난 상태입니다.
예비 심사에서 지적 사항이 나온 부분이나, 보완할 부분을 모아서 다시 한번 업데이트를 하고, 최종적으로 본심사를 진행합니다. 본심사에서는 지난번 지적 사항은 어떤 내용이었고, 어떤 식으로 보완했다라고 보여주시면 됩니다. 보통 5분~10분이면 끝납니다. 그 후에는 논문 출력, 교수님들 싸인 등을 진행하시면 되는데 보통 논문 출력해주는 업체에서 나머지 일들을 처리를 다 해줍니다.
그렇게 최종 서류 제출까지 끝나면 졸업이 되고 봄 학기 졸업이면 2월 말, 가을학기 졸업이면 8월 말 졸업식을 진행하게 됩니다.
'개발자 취업, 이직 > 스펙 UP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간대학원(공학대학원) 진학 시 실망할 수도 있는 이유 (1) | 2023.05.25 |
---|---|
야간 대학원(직장인 대학원) 도움이 될까? (1) | 2023.04.21 |
대학원의 종류 (일반 대학원과 전문 대학원) (0) | 2023.04.20 |
특수대학원(야간대학원) 논문 작성 (3) | 2021.06.16 |
이직을 위한 스펙 - 야간 대학원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7) | 2021.06.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