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경험해본 느낌을 포함해서 특수대학원(야간대학원) 논문 작성에 관련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의 경험이 적혀 있다보니 일부는 학교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특수대학원(야간대학원)은?
특수대학원은 대부분 첫 수업은 저녁 6시 30~50분쯤 시작하고 입학하시는 분들을 대부분 직장인입니다. 즉, 직장인들이 좀 더 나은 스펙을 위해서 다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부분 학업적인 목적으로 다니시는 분들도 있는데, 실제 다니고 계신 분이라면 그게 쉽진 않다는 것은 알고 계실 겁니다.
즉, 특수대학원을 다니는 주요 목적은 "스펙" 입니다.
저의 경우는 전공이 문제라서 대학원을 선택했고, 학부 대학 네임벨류를 덮으려고 다니시는 분들도 봤고, 석사라는 타이틀을 위해서 다니시는 분들도 봤습니다.
이처럼 좀 더 나음 조건의 스펙을 만들어서 언젠가 이직을 하든, 승진을 하든 좀더 나은 대우를 받기 위해서 다니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2. 특수 대학원 논문 써야 될까?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특수대학원은 목적은 스펙입니다. 특수대학원 1학기 학비가 700여만 원입니다. 장학금도 있긴 한데, 100만 원이 전부입니다.(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기준)
비싼 돈 내고 학교 왔고, 스펙 쌓으러 왔는데... 이력서에 한 줄이라도 더 추가하고, 면접에서 한마디라도 더 이야기할 거리가 있는 논문을 쓰는 건 당연합니다. 힘들겠지만 당연히 쓰셔야 됩니다.
논문 없이 학점 졸업도 됩니다. 졸업장에도 크게 차이는 안 납니다. 하지만, 이직을 할 때 석사 출신이면, 논문 질문 100프로 나옵니다. 이직 생각하신다면 반드시 하시는 게 좋습니다.
3. 논문을 잘 쓰려면?
사실 이 부분은 저도 반성하는 부분입니다. 사실 논문이 허접해요 ㅠㅠ
제 입학 동기 10명 중 저 포함 논문 3명밖에 안 썼습니다. 그만큼 다들 쓰려다가 마지막에 포기해요. 저도 막막해서 미루다 가보니 그렇게 퀄리티 있는 주제, 내용이 안되었네요.
그래서 이 내용을 써보려고 합니다.
우선 논문 주제를 최대한 빠르게 잡는 게 중요합니다. 4학기 돼서 정하면 늦어요. 일반대학원과 달리 특수대학원은 교수님과 뵐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심지어 특수대학원생이 논문 쓰는 걸 싫어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세요.
이유는 이거 이거 연구해서 확인해보라고 알려줘도 제대로 못해오는 경우도 많으며, 논문 퀄리티도 떨어지기 때문에 논문 심사에 들어가는 당사자로서는 질 떨어지는 논문을 자기가 사인하고 통과시켜주는 작업을 하고 싶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므로 주임교수님과 일찌감치 상담하고, 자신이 원하는 주제를 정해서 지도교수 배정 또는 추천을 빨리 받는 게 중요합니다.
그러면 주제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논문 주제는 우리가 일반 학생이 아니고, 현업에 있는 직장인입니다. 고로 연구할 시간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논문 주제는 가급적 자신의 회사 업무와 관련된 내용으로 어떤 문제점이나 개선할만한 점에서 착안해서 쓰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물론 회사 보안 상 내부자료 유출이 금지된 경우라면 다른 방향을 고려해봐야 하고요.
또한 논문을 잘 쓰기 위해서는 논문도 많이 보는 게 좋습니다. 논문이라는 게 논리적으로 글을 서술하는 게 맞긴 하지만, 특이한 것이 규칙을 굉장히 중요시합니다. 사진이나 그림은 젤 위 또는 아래에 배치해야 하고, (글자 가운데 그림이 들어가면 안 됨). 어디서 가져온 그래프나 내용 같은 경우에는 레퍼런스가 확실히 작성해야 하고, 말투도 추측성의 글을 지양해야 되는 등. 내용보다는 글의 폼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다른 논문들을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쓰는지 잘 봐 두시는 게 좋습니다.
기왕이면, 자신의 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참고해서 논문 작성 시에 레퍼런스로 넣으시면 더더욱 좋습니다.
4. 결론 - 제가 드리고 싶은 말
지금 특수대학원(야간대학원)을 선택하셨다면, 논문은 꼭 쓰세요. 대부분 4~5학기일 텐데, 2년~2년 반이라는 시간입니다. 돈은 거의 3천만 원 이상 들어가죠. 그렇게 투자했으면, 빼먹을 수 있는 건 최대한 빼먹어야죠.
물론 시간이 늦어져서 3학기, 4학기가 되면 포기 지경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빠른 시간 내에 논문 주제를 정하고 부지런히 지도교수님 컨택해야 합니다.
지도교수님을 괴롭힐수록 점점 좋은 퀄리티의 논문도 나오게 될 겁니다.
힘든 직장생활 중에 주경야독으로 대학원 길 선택하신 여러분들 화이팅 하십시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32.gif)
'개발자 취업, 이직 > 스펙 UP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간대학원(공학대학원) 진학 시 실망할 수도 있는 이유 (1) | 2023.05.25 |
---|---|
야간 대학원(직장인 대학원) 도움이 될까? (1) | 2023.04.21 |
대학원의 종류 (일반 대학원과 전문 대학원) (0) | 2023.04.20 |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과정 (2) | 2021.06.23 |
이직을 위한 스펙 - 야간 대학원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7) | 2021.06.11 |
댓글